[환경] 지구 온난화 시대는 끝났다
[환경] 지구 온난화 시대는 끝났다
  • 김단비 기자
  • 승인 2023.08.29 12: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지구 온난화(global warming)의 시대는 끝났다. 이제는 지구 가열화(global boiling)의 시대다. 지난 7월 27일 유엔 사무총장 안토니우 구테흐스는 “지구 온난화 시대가 끝나고 지구 가열화 시대가 찾아왔다(The era of global warming has ended; the era of global boiling has arrived)”고 말했다.

 

구테흐스 사무총장은 지난 7월의 기록적인 폭염과 화재, 이상 기변 등을 언급하며 전 세계와 회원국들에 즉각적인 행동 변화를 촉구했다. 한겨울에 폭염주의보가 내린 칠레와 화재 피해가 막심한 미국, 유럽의 사례를 언급하기도 했다.

 

지구 가열화라는 단어가 어색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전문가들은 몇 년 전부터 지구 온난화가 상황의 심각성에 비해 안일한 단어임을 지적해 왔다. ‘온난화’라는 용어가 지구의 기온 상승이 얼마나 위험하고 급박한 일인지 드러내지 못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영국 가디언지에서는 2019년 9월부터 ‘기후 변화(climate change)’를 ‘기후 비상사태(climate emergency)’, ‘기후 붕괴(climate breakdown)’처럼 직접적이고 명확한 표현으로 바꾸기로 했다고 밝힌 바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인터넷 신문사 ‘뉴스펭귄’에서 이 문제를 인식하고 기사에 반영했다.

 

‘뉴스펭귄’의 기사에 첨부된 안내문. 독자들에게 ‘지구 가열화’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이유를 설명하고 있다.
‘뉴스펭귄’의 기사에 첨부된 안내문. 독자들에게 ‘지구 가열화’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이유를 설명하고 있다.

같은 날 구테흐스 사무총장은 “지구 온도 상승폭을 섭씨 1.5도로 유지한다는 목표를 달성하면 최악의 상황을 피할 여지가 남아 있다”고 밝혔다. 전 지구적 위기에 대응해야 하는 만큼, 개인의 의지도 중요하지만 국가와 기업 차원의 대응이 필수적이다. 우리나라도 유엔 회원국들의 환경 정책을 살펴보고, 더 적극적인 환경 정책을 수립해야 할 필요가 있다.

 

태국은 2020년부터 백화점, 대형 마트, 편의점 등에서 일회용 비닐봉투 사용 및 판매를 전면 금지했다. 처음엔 반발이 심했으나, SNS를 통해 얼마나 기발한 장바구니를 가져오는지 자랑하는 캠페인이 유행하면서 긍정적인 반응이 많아졌다. 태국 국민은 어망, 포대, 수레, 빨래 바구니, 캐리어 등을 가져와 장을 봤다. 캠페인 이후 태국의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 배출량 순위는 세계 6위에서 10위로 내려갔다.

 

영국은 2035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1990년 대비 78%까지 감축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2033년부터 2037년까지의 ‘탄소 예산’을 9억 6500만 톤으로 한정했다. 5년간 온실가스를 9억 6500만 톤 이내로 배출해야 한다는 의미다. 2008년 영국에서 제정된 ‘기후변화법’은 온실가스 감축 의무를 규정하고 탄소 중립 전략을 수립한 세계 최초의 법안이기도 하다.

 

독일은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1990년 대비 65% 줄이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대만은 올해 2월 ‘기후법’을 공포해 탄소 배출량이 일정 기준 이상인 기업에 탄소 요금을 부과하는 등 탄소 규제 방법을 명문화했다. 이 밖에도 많은 회원국에서 기온 상승을 억제하고 지구 가열화를 멈추기 위해 법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우리나라도 올해 7월 10일부터 탄소중립기본법을 시행해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 대비 40% 이상 감축하겠다는 목표를 수립했다. 주요 10개 부문에 대해 감축 방향을 제시하기도 했다. 그러나 아직 해외에 비해 소극적이고 수동적인 정책이라는 의견이 많다. 법이 시행된 지 얼마되지 않은 만큼 기대와 아쉬움이 교차하고 있는 시기다. 지구 가열화에 더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 지자체별로 구체적인 제도를 수립하고 이행할 필요가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